麥 冈13斗君闪(在校园里) 世各(发音) 腭音化:收音‘c,∈(eE)’与元音‘0’结合时,分别发[x,关] E→天:旮[升刘]量0→[1刘]田毫→[田喜] L→x:己→[7訓号0→[訓刘]
제13과 학교 캠퍼스에서(在校园里) 발음(发音) 腭音化:收音‘ㄷ , ㅌ(ㄾ)’与元音‘이’结合时,分别发[ㅈ , ㅊ] ㅌ→ㅊ: 같이→[가치] 끝이 →[끄치] 벼훑이 → [벼훌치] ㄷ→ㅈ: 굳이→[구지] 해돋이→[해도지]
麥 c(1)是甘 旮仝:对。口叫双合山刃? 召叫3:斗娼到丑Ω叩双合凵口. 旮全9:斗娼型甘王闪升刃双合山刃? 召叫弓:印,如甘王刘丑叫双合凵斗.可如碧丑召昱 以合凵 旮全9:对七不哥王对升叫升司立凵叶 召叫否:旮引旮入口. -(2)P77 与格助词。用于表示地点、方位的体词之后,表示存在的地点,相当与汉语的 “在…”。通常后跟“双口(在)/溆斗(不在)”,以“-7}/叫(七/) 以中/叶”的惯用句型出现 王哥o口双合凵刃? 甘王斗⑨双合凵口
장소영:도서관이 어디에 있습니까? 김미정:학생 회관 앞에 있습니다. 장소영:학생 식당은 도서관 가까이에 있습니까? 김미정:네,학생 식당은 도서관 옆에 있습니다. 학생 생활관 건물 안에 있습니다. 장소영:저는 지금 도서관에 가려고 합니다. 김미정:같이 갑시다. (1)문단 ➢-에 (2) P77 与格助词。用于表示地点、方位的体词之后,表示存在的地点,相当与汉语的 “在……” 。通常后跟“있다(在)/없다(不在)”,以“-가/이(는/은) -에 있다/없다”的惯用句型出现。 도서관이 어디에 있습니까? 학생 식당은 도서관 옆에 있습니다.
“注意:以C/獸”有时也翻译成“有/没有” 舌o以合凵斗/合凵口.-有弟弟/没弟弟 舌o]召以合凵/寂合凵口.-弟弟在家/弟弟不在家。 牛奶在冰箱里(♀畀,升卫,双口) 早七谢卫叫以合凵叶 上海在中国的东南方 (旮訊,子9舌甘等,双口) 以合凵 小颖在哪里?(仝,,双斗) 仝9七口以合山刃? 小颖不在学校 仝9州七亚叫战合山口 -(°)司口P79 惯用形。用于动词词王后,表示意图。相当与汉语的“想 想要…” 刘哥叫升立旮凵口. 己子早訃立凵叶
“注意: 있다/없다”有时也翻译成“有/没有”。 동생이 있습니다/없습니다.– 有弟弟/没弟弟。 동생이 집에 있습니다/없습니다. – 弟弟在家/ 弟弟不在家。 牛奶在冰箱里(우유,냉장고 안,있다) → 上海在中国的东南方。 → (상해,중국의 동남쪽,있다) 小颖在哪里?(소영,어디,있다) → 小颖不在学校。 → 우유는 냉장고 안에 있습니다. 상해는 중국의 동남쪽에 있습니다. 소영 씨는 어디에 있습니까? 소영 씨는 학교에 없습니다. ➢-(으)려고 하다 P79 惯用形。用于动词词干后,表示意图。相当与汉语的“想……”、“想要……” 。 도서관에 가려고 합니다. 한국어를 공부하려고 합니다
这个周末想去爬山(o爷,5处刀)→引世让皇刀卫旮凵叶 你暑假想干什么?(q吾甘,早以,司)→叫吾甘可叫早9暑引卫沿凵丌? 我想坐地铁。(訃叁,日C) 你想买这件衣服吗?(0,人CH 0吴皇好卫沿凵升? -日入叶/音入叶 共动式敬阶终结词尾。一般用于动词词王后,表示叫对方一起做某事。 (叶)+日刘叶→旮入叶 出(叶)+吕入叶→割音入叶 我们一起看电影吧(刭,旮o,斗) 刘昌旮。号斗. 晚上我们一起喝一杯吧。(耳叫,剋,引口)→刘引普入 今天就到这里吧。(皇,世司口) 各位,请安静点吧。(己是,圣鲁訃)→ 引昱,圣暑旮口
这个周末想去爬山(이번 주말,등산을 가다) → 你暑假想干什么?(여름 방학,무엇,하다) → 我想坐地铁。(지하철,타다) → 你想买这件衣服吗?(이 옷, 사다) → 이번 주말에 등산을 가려고 합니다. 여름 방학에 무엇을 하려고 합니까? 지하철을 타려고 합니다. 이 옷을 사려고 합니까? ➢-ㅂ시다/-읍시다 共动式敬阶终结词尾。一般用于动词词干后,表示叫对方一起做某事 。 가(다)+ㅂ시다 → 갑시다. 읽(다)+읍시다 → 읽읍시다. 我们一起看电影吧(영화,같이,보다) → 晚上我们一起喝一杯吧。(저녁에,한 잔,하다 ) → 今天就到这里吧。(오늘,그만하다) → 各位,请安静点吧。(여러분,조용하다) → 영화를 같이 봅시다. 저녁에 한 잔 합시다. 오늘은 그만합시다. 여러분, 조용합시다
麥 (2是士 旮仝9:0早刘日凵丌? 召叫3:全健吕凵口 仝9:咀可日凵丌? 召叫弓:口咔刁}凵叶. 旮仝:叫39刘日凵刃? 召叫3:}凵皇,王对己烈日凵口 H不规则活用P80 以‘日’结尾的谓词词干后接以元音开头的词尾时,‘’变成‘T’。词类不规 则活用还有‘音口(冷)’、‘(热)’、‘卫卟(谢谢)’、“旮(幸会) 卟(容易)’、“習卟(难)’、‘升旮口(近)’、‘早召口(重)’、 叶(轻)’、‘日斗(可爱)’… }甘(口)+(定语词尾)→0}号叶+→0是 }甘(口)+凵(连接词尾)→°}号叶T+4→叶94 }甘(口)+(终结词尾)→}号叶T+0→卟斗
장소영:이것은 무슨 책입니까? 김미정:소설책입니다. 장소영:어떤 이야기입니까? 김미정: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입니다. 장소영:미정 씨의 책입니까? 김미정:아니오, 도서관에서 빌린 것입니다. (2)문단 ➢‘ㅂ’不规则活用 P80 以‘ㅂ’结尾的谓词词干后接以元音开头的词尾时,‘ㅂ’变成‘ㅜ’。词类不规 则活用还有‘춥다(冷)’、‘덥다(热)’、‘고맙다(谢谢)’、‘반갑다(幸会)’、 ‘쉽다(容易)’、‘어렵다(难)’、‘가깝다(近)’、‘무겁다(重)’、 ‘가볍다(轻)’、‘귀엽다(可爱)’…… 아름답(다)+은(定语词尾) →아름다ㅜ + 은 → 아름다운 아름답(다)+으니(连接词尾) → 아름다ㅜ +으니 → 아름다우니 아름답(다)+어(终结词尾) → 아름다ㅜ +어 → 아름다워